부자가 되는 법, 그건 따로 공부해야 합니다.


얼마나 있어야 부자(富者)일까. 이게 궁금하긴 세계 어디나 마찬가지인 듯합니다. 최근 모 방송에선 부자에 대한 미국인과 한국인 간의 차이를 소개했습니다. 미국인들 생각으론 빚을 빼고 남는 순자산이 220만 달러, 우리 돈 28억 원 정도면 부자입니다. 그런데 스스로 부유하다고 느끼는 기준은 이보다 훨씬 낮았습니다. 증권사 찰스 슈왑이 지난 3월 21세 이상 성인 1천200명 대상으로 물어봤을 땐 부동산을 뺀 금융자산이 평균 56만 달러, 즉 7억 원이면 부자라고 답했습니다. 여기엔 나중에 받을 퇴직금도 포함됐는데, 미국인들은 퇴직금을 스스로 관리해서 지금까지 얼마나 쌓았는지 잘 알기 때문에 그 돈까지 포함해서 대답한 겁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엔 어떨까요? 최근 금융자산이 10억 원 넘는 ‘부자들’에게 물어봤더니, 이들은 100억 원 이상은 있어야 부자라고 했습니다. 물론 미국과는 표본이 다릅니다. 이보다 앞서 2020년 잡코리아가 2천20명을 대상으로 비슷한 조사를 한 게 있는데, 46억 정도의 자산이 있어야 부자라고 했습니다. 이때는 자산과 순자산을 딱 구분하지 않았는데, 자산이라고 하면 빚을 제외한 순자산을 생각하게 되니 적어도 미국인보다 부자에 대한 기준이 더 높은 것만은 분명합니다. 실제로 1인당 소득과 구매력을 고려한 비교했을 때, 미국인들은 평균 43% 정도를 더 법니다. 그런데 부자의 기준은 우리가 훨씬 높습니다. 게다가 응답자의 절반 정도가 나 정도면 부유한 편이라고 응답했던 미국과 달리 우리는 1.1%만이 스스로 부유층이라고 답했습니다. 60% 정도는 자신이 서민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통계는 어떨까요? 상위 10%를 부자의 기준으로 놓고 본다면, 작년도 우리나라 통계청 집계를 기준으로 가구당 순자산이 약 11억 원이고, 미국인 상위 10%의 순자산은 연방준비제도 집계로 가구당 122만 달러, 우리 돈 16억 원 정도이니 두 나라 국민의 소득 격차와 대략 일치합니다. 그런데도 왜 우리는 부자의 기준이 더 높을까요? 이유가 많겠지만, 자산에서 부동산의 비중이 너무 높고 그 가격이 불안정하기 때문일 겁니다. 미국 사람들의 자산은 7대 3 정도로 금융자산이 더 많은데, 우리는 80% 정도가 부동산입니다. 깔고 앉은 부동산값이 불안정하고 현금화가 쉽지 않으니 안전한 재산이 아닌 겁니다.


그러면 아파트는 자산일까, 부채일까. 현금흐름(cash flow)으로 보면, 미국이건 한국이건 부동산은 자산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집을 사려면 대출을 받아야 하고, 그걸 보유한 이유로 세금을 냅니다. 내 지갑에 돈을 넣어주는 것이 자산인데, 집은 사는 순간부터 지갑에서 돈을 빼갑니다. 아파트가 때론 투자의 대상이 되고 회계적으로는 자산이지만 실제론 부채가 맞습니다. 아래의 왼쪽 그림처럼 자산으로 수입을 만들어내는 게 바람직한 현금흐름인데, 오른쪽 그림처럼 자동차나 아파트는 보유하는 순간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면 이건 부채의 현금흐름입니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로버트 기요사키, 민음인, 88-89.>

요즘 아파트값 하락으로 ‘영끌’과 ‘빚투’의 후유증이 심각합니다. 시장에서는 수요-공급의 불균형으로 잠시 비정상 가격이 생겨나지만 그건 잠깐일 뿐이라는 걸 간과한 위험투자의 결과입니다. 지금은 인구가 급감하는 시대. 그냥 따라 하기 부동산 투자로 부자 되긴 어렵습니다.


재테크의 고전으로 손꼽히는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2012)>. 여기에서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Robert Kiyosaki)는 자산에 대한 오해를 지적하고, 월급 생활자들의 고단한 삶을 새앙쥐 레이스(rat race)에 비유했습니다. 좋은 대학을 나와 번듯한 직장에서 월급을 받으면서 집부터 사고 자식 키우며 은퇴할 때까지 일하면서 가난의 굴레를 반복하는 삶을 빗댄 표현입니다. 부자가 되려면, 계속해 돌지 말고 쳇바퀴에서 내려 부자가 되는 길을 찾으라는 게 그의 충고입니다. 평생 열심히 일하며 성공적인 경력을 쌓은 두 아버지가 있습니다. 좋은 대학 나와 박사가 되어 좋은 직장 다녔는데도 평생 금전적으로 어려웠던 자신의 아버지, 그리고 중학도 못 나왔지만 부자가 되는 법을 일찍 터득해 하와이 최고의 갑부가 된 친구 아버지. 그는 친구 아버지의 가르침을 따라 스스로 부자가 된 경험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학생 여러분,
세상에 나갈 준비를 위한 인생 선배의 조언입니다. 직장 생활을 잘한다는 건 돈을 잘 번다는 말이 아닙니다. 높은 연봉은 단지 월급쟁이로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할 뿐입니다. 매월 받는 월급으로 지출부터 한다면 직장이 내 목줄을 잡고 흔들게 놔두는 셈입니다. 직장이 주는 돈 말고 스스로 수익을 창출할 투자처를 찾아 안정된 수익모델을 갖는 게 부자학 개론의 요지입니다. 기요사키가 알려주는 부자 되는 법이 어렵진 않습니다. 요행을 바라지 않고 삶의 철학과 세상의 이치에 따른다면 실천의 문제일 뿐입니다. ‘번 돈을 가장 먼저 저축하고 투자한다. 그리고 거기서 나온 돈으로 생활비 쓰고 세금 낸다. 남는 돈은 또 재투자한다.’ 여기엔 복리의 마법도 작용합니다. 낭비를 줄여 나에게 투자하는 일. 이게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면 돈의 선순환이 시작됩니다. 이걸 학교에선 가르치지 않습니다. 부자가 되려면 그걸 따로 공부해야 합니다. 방학 때 부담 없이 읽을 만한 책이 있어 소개합니다.



로버트 기요사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2022)




<총장메세지>

-[총장의 메시지_19] 수도권으로 북상하는 글로컬 위기
-[총장의 메시지_18] 난 시험 잘 봤는데... 학점이 왜 이래?
-[총장의 메시지_17] 화전을 확 바꿉시다.
-[총장의 메시지_16] 어렵게 배운 게 오래 갑니다.
-[총장의 메시지_15] 영웅이 많아야 대학의 문화가 바뀝니다.